1. (플러터 파이어 베이스 서버 ) node.js 다운로드 및 기초 공부
1. node.js 다운로드 받아야 시작가능
2. 설치파일이 완료되면
이렇게 정해준다
3. vscode를 킨 후
첫번째 +파일 버튼을 클릭하고 index.js라는 파일 하나를 만들어준다.
console.log("Hello world")
치고 위에 터미널을 실행시키고
node .\index.js를 치면 뭐가 나와야되는데
일단 오류가 나오기 때문에
Terminal:Select Default Profile
상단 검색창에 이렇게 쳐 줍니다.
이게 안된다. 그러면
저기로 들어가면 내 터미널 이 보인다 터미널마다 다쳐보고 안된다면
고급 환경변수에 들어가서 path 부분에 node.js가 저장되어있는 파일에 넣어주고 다시 들어와서 node .\index.js 하면된다
안된다면 재부팅
4. npm 다운로드
여기서 express 란
웹프레임 워크를 만들어주는것이다.
웹프레임 워크란 ? 프론트엔드 백엔드가있는데
디비 등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보내주는게 express의 역활이다.
( 버튼을 클릭했을때 요청을 보내고 express로 응답을 보내는 역활하는것이다. )
위에 검색어에 express 를 쳐주고 맨위에있는거
들어가고
npm install express
vscode에 express 다운로드 받아준다.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const app = express()
app.get('/', function (req, res) {
res.send('Hello World')
})
app.listen(3000)
express 코드를 3000번대로 받아준다.
그러면
http://localhost:3000/
하면 hello world가 실행된다.
여기서 내가 다운로드 받은 모듈을 지우는 방법이있는데 npm uninstall express 이런식으로 적으면 삭제됨
서버 끄는방법 컨트롤 c
5. 간단한 코드 실행 node index.js 를 하면 터미널에 로그가뜬다.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const app = express()
const port = 3000
app.get('/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res.send('Hello World!')
})
// get (http 메소드) , /(라우팅) , () (콜백함수)
// get 데이터 넘기는 방식 ,post 내부적으로 바디에 전달해주는것
// 디비같은 곳에서 듣고있으면 get 방식은 여기로 와라
// 라우팅: 뒤에 다른 페이지가 있는데 https://www.npmjs.com/package/express 이런식으로 /package/express 이뒤에있는것이
// 라우팅이다. 이런 보여지는 페이지가 달라진다.
// 함수get 끝나고 실행될 내용
app.listen(port, () => { //포트 번호가 들어간다 port의 개념은 들어올수있는 입구 (받는 위치가 다 다 름 ) 규격이 다있음
//80 페이지가 웹페이지 전송
//443 https 보안 소켓라이어
console.log(`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${port}`)
})
6. http://localhost:3000/dog 예제
app.get('/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res.send('Hello World!')
})
app.get('/dog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res.send('<h1>강아지</h1>')
})
app.get('/cat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res.send('고양이')
})
7.파럼스를 받아주는거 예를들면 유튜브가 정말 많은데 하나씩 cat dog처럼 다 넣을 수 없으니까
파럼스나 쿼리를 이용한다.
app.get('/user/:id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const q = req.params //parmas 라는게 값을 받아서 get 방식으로 아이디라는 방식으로 넣을 수 있다.
console.log(q)
res.json({'sound':'멍멍'})
})
이런식으로 하고
이런식으로 서버에 값이 저장된다.
파라마로 받는 방법 + 바로 id 를 불러오는 방법
app.get('/user/:id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const q = req.params //parmas 라는게 값을 받아서 get 방식으로 아이디라는 방식으로 넣을 수 있다.
console.log(q.id)
// 콜론을 쓰고 변수명을 적어주면 id 값이 들어간다
// 쿼리를 이용하는건 주소창 ? 뒤에 뭔가가 있는데 q=qwe 이런식으로있는데 qwe라는값을 q에 넣겠다 라는것
res.json({'userid': q.id})
})
8. 쿼리로 받는 방법
app.get('/user/:id', (req, res) => { // 주소창은 get 방식으로 들어갔고
const q=req.query
console.log(q)
// const q = req.params //parmas 라는게 값을 받아서 get 방식으로 아이디라는 방식으로 넣을 수 있다.
// console.log(q.id)
res.json({'userid': q.id})
})
쿼리로 받을려면
이렇게 주소창에 daechan 뒤에 ? 뒤쪽 적으면
저장